8월부터 '돈 공부는 처음이라(김종봉, 제갈현열/ 다산북스)'도서와 '2000만원으로 5년만에 경제적 자유를(전업투자자 JB/ 클래스101)', '돈을 이기는 탑트레이더들의 절대기준은 분명히 존재합니다(전업투자자 JB/ 클래스101)' 강의를 접한 후 투자 내용을 나에게 적용하고 실행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투자 기준을 만들고자 한다.
'2000만원으로 5년만에 경제적 자유를(전업투자자 JB/ 클래스101)'에서 배운 '죽을 때까지 매매해서는 안 되는 5가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매수하고자 하는 종목에 해당사항은 없는지 점검해보고자 한다.
김종봉 대표는 매매하지 말아야 할 종목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1. 동전주
2. 시가총액 200억 미만의 주식
3. 환기, 관리 종목
4. 자본잠식종목
5. 회사의 존폐와 관련된 뉴스가 나오는 주식
아래 종목은 코스피가 반토막 이상 하락할 때 필자가 매수할 관심종목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NAVER, 카카오, POSCO홀딩스, 삼성물산, KT&G
LG화학, SK이노베이션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 구성종목 중 top 50로 구성하였기에 어느 정도 안정적일 것이라 생각되지만, 투자 시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2022.10.10. 기준으로 하나씩 확인해보겠다.
1. 동전주
동전주란 1000원 미만의 주식을 의미하므로 매수 가격을 보면 동전주인지 아닌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매수할 종목의 2022.10.7. 종가를 살펴보니 동전주는커녕 천 원짜리도 없다. 제일 저렴한 주식이 우리금융지주로 11,400원이다.
2. 시가총액 200억 미만의 주식
시가총액은 인터넷 검색창에 주식 이름을 적으면 '금융'으로 연결되어 '기업정보' 또는 '종목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하면 다음 금융 페이지가 나온다. 우측 상단의 투자정보와 차트 아래에 있는 기업정보 탭에서 시가총액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네이버 금융 페이지가 나오며 다음과 비슷한 형태로 우측 상단 투자정보와 하단 좌측 시세 및 주주현황에서 시가총액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335조 5,018억원), SK하이닉스(66조 3,938억원), 삼성SDI(40조 6,398억원), LG에너지솔루션(112조 9,050억원)
현대차(37조 4,988억원), 기아(28조 7,808억원), 현대모비스(19조 1,038억원)
NAVER(26조 2,479억원), 카카오(22조 6,669억원), POSCO홀딩스(19조 1,554억원), 삼성물산(20조 6,510억원), KT&G(11조 9,582억원)
LG화학(41조 5,789억원), SK이노베이션(14조 6,558억원)
신한지주(18조 1,835억원), KB금융(18조 7,684억원), 하나금융지주(11조 1,999억원), 우리금융지주(8조 2,999억원)
셀트리온(23조 3,714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57조 7,221억원)
전 종목 모두 10조 이상의 시가총액으로 200억 이상임을 알 수 있다.
3. 환기, 관리 종목
매수 종목이 환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었는지 여부는 증권사에서 종목명 앞에 환 또는 기라는 단어의 여부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환기종목, 관리종목을 피하는 것은 물론 우선주도 일정 수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패스하는 것을 추천한다.
종목명 앞에 기호 또는 문자가 적혀 있는데, [환]은 투자주의환기종목, [관]은 관리종목, [정]은 거래정지, [열]은 단기과열종목, [급]은 이상급등종목, [경]은 투자경고종목, [위]는 투자위험종목, [투]는 투자유의, [주]는 투자주의종목, [공]은 공매도과열종목, [액]은 액면분할, [증]은 증거금 100%로 매매하는 종목, [신]은 신용으로 매수가 가능한 종목, [거]는 거래소 시장에서 거래되며 코스피 지수에 속하는 종목, [코]는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며 코스닥지수에 속하는 종목을 의미한다.
이왕이면 신용으로 매수가 가능한, 종목 앞에 [신]이라고 적혀 있는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좋다. 증권사에서도 어느정도 그 종목의 가치와 안정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매수할 종목을 살펴보니 NAVER를 제외하고 모두 [신]으로 표기되어 있다. NAVER의 경우 [거]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거래소 시장에서 거래되며 코스피 지수에 속하는 종목으로 주로 대형주에 많이 표기된다고 한다. 매수 종목 리스트에는 환기, 관리 종목이 없다.
4. 자본잠식종목
자본잠식종목은 기업분석 창에서 부채비율과 유보율에 N/A라는 표시가 있다. 따라서 부채비율과 유보율에 N/A가 있다면 피하길 추천한다.
앞서 살펴보았던 다음 금융, 네이버 금융에서 종목을 검색한 후 종합정보 또는 기업정보, 종목분석에 살펴보면 재무재표가 나온다. 재무재표에서 부채비율과 유보율을 확인하면 된다.
매수할 종목의 부채비율과 유보율을 살펴보았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NAVER, 카카오, POSCO홀딩스, 삼성물산, KT&G, LG화학, SK이노베이션,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두 부채비율과 유보율에 N/A라는 표시가 없었다.
5. 회사의 존폐와 관련된 뉴스가 나오는 주식
김종봉 대표는 기업이 망할 수 있는 뉴스 키워드로 '워크아웃, 횡령, 배임, 부도설' 을 꼽았다.
키움증권에서는 4년의 뉴스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전의 뉴스를 검색하려면 인터넷에서 검색해야 한다.
뉴스 내용과 관련 없이 회사의 존폐와 관련된 뉴스 키워드가 등장한다면 보유하고 있더라도 바로 매도해야 한다.
이 부분과 관련하여 2020년에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보유하고 있던 중 분식회계와 횡령과 관련된 뉴스가 2020년 10월 15일에 보도되었던 것이 기억에 난다. 주변에서 바로 매도해야 한다고 하여 손절하였다. 당시 주린이라 '왜 매도해야하지? 우리나라에서 삼성계열 기업인데 설마 어떻게 하겠어? 더 구매해야 하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였지만 그 때 당시 김종봉 대표의 내용을 알았더라도 같은 선택을 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에 놀라웠다. 당시에는 약간 하락하다가 더 크게 상승하여 아쉽긴하였지만 그것은 결과론적인 것이고, 미래는 알 수 없으며 상폐 또는 상당 폭의 하락이 나오는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 돈을 지키기 위한 하나의 기준으로 두는 것이 옳다.
그러나 내가 구매하려고 하는 기업들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아닌가?
튼튼하다고 생각되는 기업도 워크아웃, 횡령, 배임, 부도설이라는 단어의 뉴스가 나오면 매도해야 하는지
종합시황뉴스에 삼성전자 워크아웃, 삼성전자 횡령, 삼성전자 배임, 삼성전자 부도설을 검색해보았다.
키움증권의 종합시황뉴스는 4년치만 검색되어 2018년 기사부터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같은 내용의 뉴스일 경우 제일 먼저 기사가 난 날을 기준으로 보았다.
삼성전자 워크아웃, 삼성전자 부도설에 관한 뉴스 내용은 없었다.
삼성전자 횡령은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가 2017년 2월 28일 공소 제기한 사안의 상고심 판결 내용 중 횡령 부분에 대한 내용에서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일부 유죄에 관하여 2018년 1월 29일부터 2021년 1월 20일까지 일 년에 한 두번씩 거래소 공시와 뉴스가 나왔다.
2018년 12월 27일에는 이투데이, 연합뉴스 등에서 조세포탈과 자택 인테리어 공사비 대납(횡령)에 관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기소 중지 뉴스가 있었다.
배임과 관련된 뉴스는 같은 내용의 경우 제일 먼저 기사가 난 날을 기준으로 보았다. 2022년 3월 29일에는 삼성웰스토리에 일감을 몰아주기 관련 배임, 2018년 1월 29일에는 이모전무가 허위 경비 청구에 대한 업무상 배임에 관한 뉴스가 나왔다.
2018년 1월 29일, 2018년 12월 27일, 2022년 3월 29일 모두 차트를 살펴보았지만
해당 기사 내용으로 인하여 하락하였다고 보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지수에서 삼성전자의 비중이 크다보니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일 수도 있으나
삼성전자만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총이 적은 기업의 경우 그 흔들림이 더 클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코스피 지수 반토막 전략에서 매수할 기업들은 워크아웃, 횡령, 배임, 부도설이라는 단어의 뉴스가 나오면 보유 비중을 줄이고, 매수 예정이었다면 더 좋은 다른 종목을 매수하는 방향으로 잡아야 겠다.
그 외) 감사보고서
대부분 기업은 3월에 감사보고서를 발행하는데, 이때 가장 많은 종목들이 상장폐지된다고 한다. 조심해야 할 사항 4가지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1. 1년 이내 최대주주변경
좋은 기업은 최대주주가 더 많이 소유하려고 한다.
2.우리가 모르는 투자회사가 지분을 다량으로 보유
반대로 국가 돈(국민연금관리공단, 산업은행, 관광공사 등)이 있다면 조금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3. 감사보고서 제출일자가 늦어지는 기업
4. 당기순이익이 전부 적자
매매하지 말아야 할 종목은 1. 동전주, 2. 시가총액 200억 미만의 주식, 3. 환기·관리 종목(우선주), 4. 자본잠식종목, 5. 회사의 존폐와 관련된 뉴스가 나오는 주식(워크아웃, 횡령, 배임, 부도설)이다. 그 외에도 감사보고서에서 최대주주가 변경되거나, 모르는 투자회사가 큰 지분을 가지고 있거나, 보고서 발행이 늦어지는 경우,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경우는 피하는 것이 좋다.
필자는 코스피가 반토막 이상 하락하였을 때 매수할 종목을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Tiger Top 10 ETF와 Tiger 200 ETF의 구성종목 중 비중이 높은 top 50에서 선정하였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목들이다보니 어느 정도 안정적일 것이라 생각하였지만 매매하지 말아야 할 다섯 가지 내용 중 1번부터 4번까지 확실하게 해당되지 않으며, 5번의 경우에도 크게 위험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코스피가 반토막 이상 하락할 때 필자가 매수할 관심종목이다.
1.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중 2가지 종목을 25% 매수
2.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중 2가지 종목을 15% 매수
3. NAVER, 카카오 2가지 종목을 15% 매수
4. LG화학, SK이노베이션 2가지 종목을 15% 매수
5.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중 2가지 종목을 15% 매수
6.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2가지 종목을 15% 매수
만약 3번, 4번, 6번 업종의 2가지 종목 중 시장을 이기는 종목이 없다면
POSCO홀딩스, 삼성물산, KT&G에서 선택하여 매수할 예정이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D 보조지표 보는 법, MACD Oscillator 설정, MACD 매매법 (2) | 2022.10.27 |
---|---|
RSI 보조지표 보는 법, RSI 매매법 (2) | 2022.10.26 |
투자의 본질(박세익), 주식 매수 기회, 바닥 신호, RSI, MACD 오실레이터, VIX 지수 (4) | 2022.10.23 |
코스피 폭락, 코스피 저점 매수, 구체적인 투자 시나리오 (0) | 2022.10.21 |
코스피 저점 매수 기회, 매수 종목 찾기 (2) | 2022.10.10 |
KRX 금현물 증권사별 수수료 비교(NH투자증권 추천) (4) | 2022.09.30 |
금 투자 방법(금 펀드) (2) | 2022.09.28 |
금 투자 방법(국내 금 ETF, 미국 금 ETF) (4)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