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공부는 처음이라(김종봉, 제갈현열/ 다산북스)' 도서와 '2000만 원으로 5년 만에 경제적 자유를(전업투자자 JB/ 클래스 101)' 강의를 접한 후, 다가올 위기를 알아채고 기회로 만들기 위한 작업을 해보았다.
위기를 기회로 잡으려면? 코스피 저점 파악하기
김종봉 저자는 코스피의 하락(-50% 이상)은 기회가 된다고 하였다.
시장의 위험과 투자물의 위험을 구분하여야 하며,
시장이 주는 위험은 감수하고 투자물이 주는 위험은 피해야 한다.
그렇다면 코스피의 최근 고점은 언제인가?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2021년 6월 25일 3316.08 포인트가 최근 고점이다.
그렇다면 3316.08 포인트에서 -50% 이상 하락한 1989.648 포인트 부근에 다다랐을 때
우리는 위기라고 볼 수 있으며 이때가 곧 기회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책의 내용만 가지고 1990포인트만을 기다리기에는 마음이 조금 불안하다.
정말 1990포인트까지 하락할까?
과연 1990포인트에서 매수하면 조만간 상승하여 수익으로 매도할 수 있을 것인가?
불안하고 확신이 들지 않을 때는 그 투자 기준에 관한 시간과 정성이 부족한 것이고 믿음과 확신이 적은 상태에서 돈을 넣는 것은 투자가 아니라 도박이라고 하였다.
코스피의 차트를 살펴보며 전 고점과 저점을 파악해보자.
굉장히 투박하지만, 차트를 보며 정리한 액셀 표를 제시하며 글을 이어나가겠다.
첫 번째 고점은 1989년 4월 3일 1015.75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난 첫 번째 저점은 1992년 8월 21일 456.59포인트이다. (하락의 원인: 일본의 붕괴)
저점은 고점에서 약 3.5년 지난 후 나타났으며, 고점 대비 -50%는 507.875 포인트이므로 충분히 매수할 수 있었다는 의미에서 노란색으로 음영을 처리하였다.
두 번째 고점은 1994년 11월 9일 1145.66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난 두 번째 저점은 1998년 6월 16일 277.37포인트이다. (하락의 원인: IMF)
저점은 고점에서 약 3.7년 지난 후 나타났으며, 고점 대비 -50%는 572.83 포인트이므로 충분히 매수할 수 있었다는 의미에서 노란색으로 음영을 처리하였다. 물론 예상 저점에서 -50%가 더 빠졌기 때문에 실제로 572포인트 부근에서 매수하였다면 심적으로 힘들었을 것 같지만 바닥을 예측하는 것은 나의 영역이 아니다. 그래도 위기임을 감지하고 매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세 번째 고점은 2000년 1월 4일 1066.18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난 세 번째 저점은 2001년 9월 21일 463.54포인트이다. (하락의 원인: IT버블)
저점은 고점에서 약 1.8년 지난 후 나타났으며, 고점 대비 -50%는 533.09 포인트이므로 충분히 매수할 수 있었다는 의미에서 노란색을 넣었다.
네 번째 고점은 2007년 11월 1일 2085.45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난 네 번째 저점은 2008년 10월 27일 892.16포인트이다. (하락의 원인: 서브프라임)
저점은 고점에서 약 0.9년 지난 후 나타났으며, 고점 대비 -50%는 1042.725포인트이므로 충분히 매수할 수 있었다는 의미에서 노란색을 넣었다.
다섯 번째 고점은 2011년 4월 27일 2231.47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난 다섯 번째 저점은 2011년 9월 26일 1644.11포인트이다.
저점은 고점에서 약 0.5년 지난 후 나타났으며, 고점 대비 -50%는 1115.735포인트이므로 -50%만 생각하였다면 매수를 하지 못하였다는 의미에서 붉은색을 넣었다. 혹시나 싶어 -40%를 계산해보았지만 1338.882포인트로 -40%까지 보았더라도 매수는 어려웠을 것이다. 고점 대비 저점이 나타난 기간이 짧아서 그런 것일까?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후 2018년까지 장기적으로 상향하는 코스피 차트를 보며 2011년 9월에 매수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여섯 번째 고점은 2018년 1월 29일 2607.1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난 여섯 번째 저점은 2020년 3월 19일 1439.43포인트이다.
저점은 고점에서 약 2.2년 지난 후 나타났으며, 고점 대비 -50%는 1303.55포인트이므로 -50%만 생각하였다면 매수를 하지 못하였다는 의미에서 붉은색을 넣었다. 역시나 아쉬운 마음에 -40%를 계산해보니, 1564.26포인트로 -40% 하락에서 일정 부분 매수하였다면 가능하였겠다는 생각에 -40%에도 함께 붉은색을 넣었다.
대망의 최근 고점 즉, 일곱 번째 고점은 2021년 6월 25일 3316.08포인트이다.
그 후 나타날 저점의 포인트를 찾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위기는 10년에 한 번씩 온다고 여기저기서 들었던 것 같은데 생각보다 주기가 짧았다.
우리의 목표는 기회를 잡는 것! 즉, 고점 대비 -50% 포인트를 바로 계산해보았다.
코스피가 직전 고점인 3316.08포인트에서 50% 하락하면 1658.04포인트이다.
이전의 고점 두 번 모두 -50%까지 오지 않았으므로 -40% 하락도 계산해보면 1989.648포인트!
즉, 1990포인트 부근에 오면 촉각을 곤두 세우고 조금씩 분할 매수를 해야 할 시기이다.
2000포인트가 붕괴되면 뉴스와 신문에서도 난리가 나겠지!
준비가 덜 된 상태로 코로나를 맞이하여 2020년 3월 기회를 놓쳤지만
이번에는 2000포인트가 붕괴되어 경제가 무너진다고 난리가 나면 자신 있게 매수해야겠다.
다만, 아직 고민 중인 것은
1. 무엇을 살 것인가?
지수 추종 ETF를 살 것인가,
국내 우량주 중 10개 섹터별로 1 등주와 2 등주 총 20 종목의 비중을 동일하게 나눠서 매수할 것인가.
나는 이전 책들을 읽으면서 개별주식을 파악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지수 추종 ETF를 꾸준히 적립식으로 모아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그런지 아직은 지수 추종 ETF에 마음이 더 간다. 다만, 수익성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수를 이기는 종목을 선별하는 능력이 생긴다면 개별종목 20~30개를 선정하여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2. 매수 시점과 비중을 어떻게 할 것인가?
-40% 하락 시 보유 자산의 30% 매수,
-50% 하락 시 보유 자산의 30% 매수,
-60% 하락 시 보유 자산의 20% 매수,
-70% 하락 시 보유 자산의 20% 매수
보유한 전체 자산 중 50%의 금액을 주식에 활용한다고 생각하고 그 자금을 100%로 생각한 후 위와 같은 비중으로 매수할 생각이다. 그러나 이에 관한 고민의 시간과 정성이 부족한 상태여서 추후 수정 작업이 필요하다.
1과 2의 질문에 관하여 김종봉 저자의 경우,
-50% 이상 하락한 첫날 내가 보유한 전체 자산의 10%를 30 종목 이상에 동일하게 나눠서 매수,
-60% 이상 코스피 지수가 하락한 첫날 당시 내가 보유한 전체 자산의 10~15%를 30 종목 이상에 동일하게 나눠서 매수,
-70% 이상 코스피지수가 하락한 첫날 당시 내가 보유한 전체 자산의 10~15%를 30 종목 이상에 동일하게 나눠서 매수한다고 하였다.
3. 매도 시점과 비중을 어떻게 할 것인가?
반토막 하락 후 이익이 이전 고점까지 가는 경우도 있지만, 전 고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추가로 하락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의 니케이 225지수를 보면, 1990년의 4만 포인트 고점을 현재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50% 이상 하락 후 50%의 반등이 있고난 후 추가로 하락하는 것을 통하여 수익이 50%에 도달하면 절반 정도의 물량을 수익으로 확정짓는 것이 중요하다.
김종봉 저자의 경우,
수익이 30%에서 1차 매도 25%,
수익이 40%에서 2차 매도 25%,
수익이 50%에서 3차 매도 25%,
수익이 60%에서 4차 매도 25%,
단, 1차 매도 후 매수가를 이탈하면 전부 매도한다고 하였다.
이에 관한 고민의 시간과 정성 역시 부족한 상태라 우선 저자의 조언대로 진행해보고자 한다.
1. 생각보다 위기 = 기회는 자주 온다.
10년에 한 번이 아니라 10년에 2~3번 오는 것 같다.
코로나 기회를 놓쳤다고 아쉬워하지 말고 곧 다가올 기회를 준비하자.
조급해하지 말고 기회가 왔을 때마다 조금씩 자산을 불려 나가자
2. 나에게 곧 다가올 기회는 코스피가 1990포인트에 다가왔을 때이다.
2000포인트가 무너질 것 같다고 여러 매체에서 난리 칠 때
매수의 칼날을 잘 다듬어서(매수 종목, 시점, 비중의 구체화 작업) 기회를 잡자.
3. 한 번에 너무 잘하려고 욕심부리지 말고, 잘 모를 때는 저자의 조언을 토대로 실행해보며 경험을 쌓자.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폭락, 코스피 저점 매수, 구체적인 투자 시나리오 (0) | 2022.10.21 |
---|---|
매매해서는 안 되는 종목, 매수할 때 피해야 할 종목, 매수 시 유의사항 (4) | 2022.10.13 |
코스피 저점 매수 기회, 매수 종목 찾기 (2) | 2022.10.10 |
KRX 금현물 증권사별 수수료 비교(NH투자증권 추천) (4) | 2022.09.30 |
금 투자 방법(금 펀드) (2) | 2022.09.28 |
금 투자 방법(국내 금 ETF, 미국 금 ETF) (4) | 2022.09.26 |
금 투자 방법(KRX 금시장, 금통장, 골드바) (2) | 2022.09.24 |
돈 공부는 처음이라(김종봉, 제갈현열) (4) | 2022.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