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금 투자 방법(KRX 금시장, 금통장, 골드바)

by 현명한 거북이 2022. 9. 24.
반응형

경제 위기 때 통화량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큰 위기가 없더라도 일반적으로 통화량은 서서히 증가해왔다.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계기로 전 세계의 많은 국가는 자국의 통화량을 늘려 민간에 보급하면서 경제를 지탱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로 인해 물가 치솟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났화폐의 가치 하락했다. 물가를 잡기 위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여러 국가에서 기준 금리를 계속 인상하고 있다.

오랫동안 현금을 그저 착실하게 보유만 할 경우 인플레이션에 의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므로 투자하지 않는 것 또한 위험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여기서 현금을 보유하는 것은 현금을 모으는 저축, 즉 예금과 적금과 다르다. 예적금은 이자(금리)를 주는 투자상품이다. 

'통화량의 증가 = 인플레이션 = 소비자 물가 상승 = 화폐 가치 하락'의 내용이 어렵다면 최근, 10년 전, 20년 전 짜장면 값, 버스요금, 과자값 등을 생각해보자. 같은 돈으로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든 것이 바로 통화량의 증가,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화폐 가치 하락이다.

물론 투자위험성을 지닌다. 따라서 충분하게 잘 알아보고 공부한 후 나에게 맞는 투자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위기 상황에서 가격이 치솟아 투자자의 관심 대상이 되는 '금'. 이번 글에서는 금 투자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금 투자 방법은 '금 현물'에 투자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금 현물에 투자하는 KRX 금시장, 금 통장, 순금 장신구 및 골드바가 있으며, 

금 현물이 아닌 금 지수(관련 자원)에 투자하는 금 ETF, 펀드, 금 ETN 등이 있다.

 

금 현물(KRX 금시장, 금 통장, 골드바)은 환율 헷지를 안 하므로 국내 금시장으로,

금지수(금 ETF, ETN)는 환율 헷지를 하므로 국제 금시장에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국내 금값은 달러 환율이 올라가면 금 가격도 같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서 환헷지가 되는 ETF보다 금 현물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1. KRX 금시장(한국거래소)에서 금 현물 투자

 

KRX 금시장이란 정부의 금 거래 양성화 계획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 2014.3.24.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금 현물 시장이다. 주식처럼 편리하게 11개의 증권사*를 통해 '금 현물 전용계좌'를 개설한 후 증권사 거래시스템에서 1g 단위로 투자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이다. 매수한 금은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안전하게 보관한다.

* KB증권, NH투자증권, SK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 대우,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

 

투자 방법에 따른 금 1kg 매입 가격(KRX 한국거래소)
투자 방법에 따른 금 1kg 매입 가격(KRX 한국거래소)

 

 

매입 이후 가격이 3% 상승한 뒤 매도 가정(KRX 한국거래소)
매입 이후 가격이 3% 상승한 뒤 매도 가정(KRX 한국거래소)

 

 

<KRX 금시장의 특징>

금 현물을 취급하는 11개의 증권사*에서 금 현물 전용계좌만 개설하면 시장에서 형성되는 실시간 가격으로 보다 편리하고 투명하게 금 현물을 거래할 수 있다.

ETF처럼 유동성공급자(LP)가 있어 쉽게 투자와 자금 회수가 가능한다.

증권사 온라인 수수료(0.3% 내외)가 다른 금 거래 수수료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며 양도소득세는 비과세, 금융종합과세는 비대상, 부가가치세(10%)는 면제된다.

계좌를 개설한 증권사 지점에서 금 인출(수령)이 가능하며,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금 1개 당 20,000원 내외의 인출 비용이 들고 인출 기간으로 약 2일 소요된다.

매수는 1g 단위 인출은 1kg, 100g 단위이다.

 

2. 은행에서 금 통장(골드 뱅킹) 상품 가입

금 통장은 시중 은행에서 골드 뱅킹이라는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골드뱅킹이란 은행에서 금 통장(골드뱅킹)을 개설하고 원화를 입금하면 은행에서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 환율을 적용하여 금으로 적립한 후 고객이 출금을 요청하면 국제 금 시세와 환율로 환산한 원화를 지급하는 상품이다. 금 통장은 주식 매매와 다르게 거래를 예약하는 것이 아니라 입금하는 시점에 가격이 같아야 체결이 된다. 따라서 통장 개설 후 거래체결이 되지 않으면 시세와 가격이 달라 거래가 되지 않은 것이므로 시세에 맞게 가격을 설정하여 다시 거래해야 한다. 은행별로 수수료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주거래 은행의 수수료 우대, 환율 우대, 부가서비스 등을 살펴보며 본인 성향에 맞는 은행에서 통장을 개설하면 된다. 대표적으로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의 금 통장을 살펴보았다.

 

1) KB국민은행- KB 골드투자통장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16622#loading 

KB골드투자통장
KB골드투자통장(KB은행 홈페이지)

 

 

2) 신한은행- 신한 골드리슈 골드테크

https://bank.shinhan.com/index.jsp#020700000000

신한은행에서는 신한 골드리슈 골드테크, 신한 골드리슈 금적립, 달러 앤 골드테크 통장, 신한 실버 리슈 실버 테크, U드림 Gold모어 통장, Kid&Teens 금적립 등 다양한 골드 상품이 있다.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신한은행 홈페이지)

 

 

 

3) 우리은행- 우리 골드투자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POGLD0002&cc=c004273:c011984&PRD_CD=P100000001 

우리골드투자
우리골드투자(우리은행 홈페이지)

 

 

  KB골드투자통장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 우리골드투자
가입 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상품 특징 금 실물 거래 없이 자유롭게 금에 투자하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투자상품
거래 단위 0.01g
신규가입 거래 단위   신규 가입 시 0원 가능 신규 가입 시 1g 이상
가입대상 제한없음(비거주자는 인터넷뱅킹 개설 불가) 제한 없음
가입기간 제한없음
가입방법 - 신규, 조회/입금/출금: 영업점, 인터넷뱅킹, KB스타뱅킹
- 해지: 영업점
* 미성년자는 인터넷뱅킹, KB스타뱅킹으로 '신규/출금/해지' 불가
인터넷, 영업점, 스마트폰 가입 가능
금가격 금 1 트로이온스 당 미달러화로 표시되는 국제 금가격
* 1트로이온스 = 31.1034768gram
환율 국민은행이 국내외 외환시장에서 실시간 거래되는 환율수준을 반영하여 산정하는 시장연동환율 신한은행이 국내외 외환시장에서 실시간 거래되는 환율수준을 반영하여 산정하는 시장연동환율 우리은행이 국내외 외환시장에서 실시간 거래되는 환율수준을 반영하여 산정하는 시장연동환율
거래가격 매입 가격: 금매매 기준가격 + (기준가격 x 1%)
매도 가격: 금매매 기준가격 - (기준가격 x 1%)
상품 속성 원금 비보장형, 높은 위험, 무이자
세금 매매차익에 관한 배당소득으로 15.4% 원천 징수, 비과세종합저축 불가
중도해지 수수료 없음
우대율 적용   예약매매, 반복매매: 50%
자동이체: 40%
인터넷 거래: 30%
인터넷/스마트뱅킹 거래, 자동이체, 골드적립이체, 지정가반복매매 거래시 환율우대 30% 제공
부가서비스 자동이체 서비스(자동매입 주기, 수량, 일자를 지정하여 해당일에 반복적으로 매입하는 서비스) 예약매매 서비스, 반복매매 서비스, SMS 서비스
단, 예약매매, 반복매매, 자동이체 서비스는 중복신청이 불가능함. 예약매매, 반복매매 서비스는 실시간이 아닌 마감 후 (17시경) 가격 기준으로 매매가 체결됨.
SMS 서비스, 자동이체 서비스, 골드적립이체 서비스, 지정가 반복 매매 서비스 제공
기타 인터넷 신규가입 거래시간 9:10~15:50 (신규 후 취소거래 불가) 거래 건당 미화 20만불 상당액 이상일 경우 인터넷 거래 불가함. 영업점에서 가능함.  

 

 

<금 통장의 특징>

은행에서 거래가 가능하여 비교적 가입이 쉽고 접근성이 좋다. 모바일이나 인터넷뱅킹으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으며 금을 사고파는 절차가 번거롭지 않다.

금 통장을 개설 후 거래단위는 0.01g이다. 입출금이 자유롭고(수시입출금) 현금이나 실물 금으로 인출 가능하다.

가입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중도해지 수수료가 없다.

이자가 지급되지 않고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통장 거래 시 매매기준율의 약 1%가 발생한다. 매수, 매도 시 투자금액의 1%가 각각 부과되어 다른 금 투자 방법에 비해 수수료가 다소 높은 편이다.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를 내야 한다.

부가세 10%는 별도이다. 

실물 거래만 인출이 가능하며 인출 비용은 약 5%의 실물거래 수수료가 발생한다.

은행 영업점에서 인출(수령)이 가능하며 약 1주일 정도 소요된다. 

 

3. 순금 장식품, 골드바 등 직접 구매

순금 장식품(반지, 목걸이 등)은 직접 금은방에 방문하여, 골드바(금괴)는 한국 조폐공사, 은행, 우체국, 증권사에서 구매할 수 있다. 금을 사고팔 때의 마진 차이가 있으므로 매매하는 순간 손실이 발생한다. 순금 장식품의 경우 금 시세와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 골드바의 경우 취급하는 곳에 따라 추가 수수료(5~12%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순금 장식품, 골드바 등 현물 금 투자의 특징>

실물로 금을 보관할 수 있다. 위급 상황 발생 시 바로 금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 단, 분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별도의 보관 비용(개인 금고, 은행 등)이 발생한다.

실물 구매 후 상속세, 증여세, 금융소득 종합과세, 양도소득세 등 추후 차익에 관한 세금이 없다. 장기투자 또는 부자들의 상속, 증여 수단으로 활용된다.

부가가치세 10% 외에 인건비 및 세공비(골드바 제작비용 약 5%), 거래 수수료가 발생하여 15% 이상의 수익이 나야 투자 수익이 발생한다.

 


 


투자는 위험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도 위험하다.

필자는 장기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일정 비율로 금을 보유하며 투자할 것이므로 세공비, 가공비가 없으며 세금과 수수료가 낮고, 안정적이며 1g 단위로 쉽게 거래할 수 있는 KRX 금시장(한국거래소)의 금 현물 투자가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다음 글에서는 금 현물이 아닌 금 지수, 금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하는 금 ETF, 금 ETN, 펀드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