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슈퍼마켓(한국포스증권) 연금저축펀드 계좌
소득공제와 노후를 위해 펀드슈퍼마켓(한국포스증권)에서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보유하고 있다. 가입 당시 펀드 수수료가 가장 적은 S클래스 상품을 매매할 수 있는 곳이 펀드슈퍼마켓이어서 펀드슈퍼마켓에서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하였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하기 전(2012년 3월 ~ 2020년 10월)에는 공제회에서 장기저축을 가입하였다. 장기저축은 퇴직 시 수령할 수 있는 상품으로 변동금리(현재 세전 3.8%)를 적용하였다. 금리가 오를 때는 시장보다 천천히 오르지만 하락할 때는 비슷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지만 20 ~ 25년 뒤 수령할 금액을 3 ~ 4%의 이자로 불리면 물가상승률도 못 따라가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이 들었다.
2020년 주식 시장은 한창 상승하던 중이었고, '글로벌 1등 기업과 4차 산업에 관련된 펀드를 사모으면 20년 후에는 연 4% 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주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에 2020년 11월 말일부터는 공제회의 장기저축의 금액을 최소로 하고, 연 400만 원(소득공제 한도) 정도를 연금저축펀드 계좌로 옮겼다.
1. 생각보다 낮은 수익률: 이중 보수 비용 차감
첫 번째 문제는 은행 이자보다 더 벌기 위하여 연금저축과 ISA를 가입한 것인데, 오랜만에 펀드슈퍼마켓에 들어가 보니 수익률이 형편없었다. 물론 아직 2년 6개월 정도밖에 안 되었지만 수익률을 보고 나니 다시 한번 정신이 바짝 들어 점검해 보게 되었다.
당시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가입한 상품은 피델리티 글로벌 테크놀로지 증권 자투자신탁 S-PRS(연 0.342% / 총 보수비용 1.448% 피투자 펀드 보수 비용인 수수료 포함), AB 미국 그로스 증권 투자신탁 S-P(연 0.375% / 총 보수비용 1.135% 피투자 펀드 보수인 수수료 포함), 메리츠 차이나 증권 투자신탁 S-P(보수 연 1.18%) 3가지이다.
처음에는 피델리티 글로벌 테크놀로지와 AB 미국 그로스 펀드의 연 0.3~0.4% 보수를 보고 '오! 펀드이지만 ETF처럼 비교적 수수료가 저렴하네.'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생각보다 펀드의 수익률이 좋지 않아서 운용보고서를 자세히 살펴보니 '피델리티 글로벌 테크놀로지 증권 자투자신탁'과 'AB 미국 그로스 증권 투자신탁'은 모투자신탁에 투자하는 펀드로 이중 보수비용이 나가는 것이었다.
A(모) 펀드가 개별주식을 구매하여 운영한다면, B(자) 펀드는 A(모) 펀드를 구매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여기서 필자가 구매한 '피델리티 글로벌 테크놀로지 증권 자투자신탁'과 'AB 미국 그로스 증권 투자신탁'은 B(자) 펀드에 해당한다. B(자) 펀드는 A(모) 펀드를 구매하여 운영하므로 B펀드의 보수와 간접적으로 A펀드를 운영하는 보수까지 이중으로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2. 펀드슈퍼마켓의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는 ETF 매수가 불가능
두 번째 문제는 현재 증권사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ETF 구매가 가능한데, 펀드슈퍼마켓에서는 ETF 매수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혹시 펀드슈퍼마켓에서도 ETF 구매가 가능한가 싶어 찾아보았지만 현재(2023. 5. 1. 기준)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ETF 구매가 불가능하였다. 문의 결과 의논은 하고 있으나 서비스 개시 예정일은 잡혀 있지 않고 한다. 증권사에서는 2017년, 2018년부터 논의가 되어 이미 꽤 여러 증권사에서 ETF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그렇다면 어디에서 연금저축 계좌를 만드는 것이 좋을까?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국내상장 해외 ETF 투자가 가능한 증권사
ETF는 0.3~0.7% 정도로 펀드보다 운용 보수(수수료 포함)가 저렴하며 다양한 시장(해외, 선진국, 신흥국, 채권 등)에 투자할 수 있다. 필자는 장기로 운영할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국내상장 해외 ETF(인덱스 펀드)를 매수하고 싶어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국내상장 해외 ETF(지수 추종 펀드) 투자가 가능한 증권사를 찾아보았다.
필자가 연금저축 계좌 개설할 때 고려한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연금저축 계좌에서 ETF 거래가 가능한지?
2. 연금저축 계좌에서 연금 수령 개시 후 기존 ETF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지?
3. 연금저축 계좌에서 거래할 수 있는 ETF 수가 많은지(내가 원하는 ETF 상품이 존재하는지)?
4. 연금저축 계좌에서 매매수수료가 낮은 편인지?
< 여기서 잠깐 >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국내 주식형 ETF는 매수하지 말 것!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원하는 상품을 담아서 자유롭게 운용해도 된다. 다만, 국내 주식형 ETF보다는 국내상장 해외 ETF 외에 채권형, 원자재, 리츠, 공모펀드 ETF 등을 구매하는 것이 더 좋다.
국내 주식형 ETF는 일반 증권 계좌에서 매매해도 수익이 현재 비과세이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는 세액공제 상한선과 한도가 있으므로 국내 주식형 ETF를 매수하면 세제 혜택을 받는 금액이 줄어서 불리하다.
또한, 연금저축은 연금 수령 시 모든 발생 이익에 대하여 3.3~5.5% 과세(연 1200만 원 이내로 연금 수령 기준)하므로 국내 주식형 ETF는 일반 증권 계좌에서 운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추후 국내 ETF도 매매차익에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며 만약 국내 ETF 매매차익에 세금을 부과하게 된다면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모든 ETF를 매매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외에도 운용 수익에 관한 과세를 인출할 때까지 미루고 이익에서 손실을 상계하며 연금으로 수령할 때 낮은 세율로 과세한다는 점에서 혜택이 많다. 해외 펀드와 ETF(국내 주식형 ETF 제외)로 장기 투자할 계획이라면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고려해 보길 바란다.
1. 연금저축 계좌에서 ETF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는?
먼저 연금저축 계좌에서 ETF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키움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현대차증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연금저축 계좌에서 ETF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가 더 있을 수 있다. 본인이 평소 잘 이용하고 있는 증권사가 있다면 해당 증권사의 '연금' 상품에서 ETF 매매가 가능한지 확인해 보는 것이 빠르고 정확하다.
2. 연금저축 계좌에서 연금 수령 개시 후 기존 ETF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지?
두 번째로 연금저축 계좌는 그 성격에 맞게 연금 수령 개시할 때 모든 투자 상품을 일시에 현금화하는 경우, 일시에 현금화하여 예금 상품으로 운용하는 경우, 연금 수령 개시 후에도 기존 ETF를 지속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필자는 연금 수령을 받는 기간이 적어도 10년에서 20년은 될 것으로 예상되어 연금 수령 개시 후에도 기존 ETF를 계속 투자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후자가 가능한 증권사를 알아보았다.
연금저축 계좌에서 연금 수령 개시 후 기존 ETF를 계속해서 운영할 수 있는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키움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등이다.
3. 연금저축 계좌에서 매매수수료가 낮은 편인지?
연금저축 계좌에서 ETF를 거래할 때 지불해야 하는 매매수수료를 찾아보았다. 대부분 온라인 그중에서도 모바일 비대면으로 가입하고 거래할 때 매매수수료가 저렴한 편이었고 필자도 모바일을 이용할 것이므로 이를 기반으로 정리해 보았다.
1) 미래에셋대우: 온라인 다이렉트 0.014%, 온라인 영업점 0.14%, 오프라인 0.49%
2) 키움증권: 온라인 0.015% (단, 1개월간 0.0036396% 23년 4월 3일 ~ 6월 30일 이벤트)
3) NH투자증권: 온라인(모바일) 0.1971639%+500원, 온라인(자동주문) 0.4991639%, 오프라인 0.4972%
4) KB증권: 온라인(모바일) 0.1978%, 온라인(홈페이지, HTS) 0.1578%+1,000원, 오프라인 0.4973%
5) 삼성증권: 온라인 0.147216%+1,500원(단, 23년 12월 31일까지 0.0042087% 이벤트), 오프라인 0.497216%
6) 한국투자증권: 온라인 0.4977177%
* NH투자증권은 매매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걸어두었지만 홈페이지 첫 화면으로 넘어가져서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메뉴)을 따로 적어두었다. (NH투자증권 홈페이지 > 고객센터 > 업무안내 > 수수료 안내> 매매수수료)
증권사별 매매수수료율 비교해 놓은 사이트가 있어 소개한다.
금융감독원 연금상품 비교공시 - 금융사별(은행/증권사/보험), 상품별 수익률 및 수수료율 조회하기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우선 여기까지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ETF 매매가 가능하며, 연금 수령 이후에도 ETF 운영이 지속적으로 가능하고, 매매수수료가 저렴한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와 키움증권이었다.
4. 연금저축 계좌에서 거래할 수 있는 ETF 수가 많은지(내가 원하는 ETF 상품이 존재하는지)?
우선 연금저축 계좌에서 내가 원하는 ETF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거래 가능 ETF 수가 많은지 확인해보고 싶었다. 필자가 찾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각 증권사에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해야지만 거래 가능한 ETF 상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에 각각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해 보았다.
참고 사항 1.
연금계좌 납입 한도는 전 금융기관을 통합하여 연 1800만 원이다. 처음에 미래에셋증권에서 비대면으로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하는데 연간 납입 한도가 0원으로 떠서 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 없었다. 이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펀드슈퍼마켓 연금저축계좌 한도를 1800만 원으로 설정해 두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할 때 연간 납입 한도가 작아서 이를 변경하고 싶다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타 금융기관의 연금계좌의 납입 한도를 먼저 변경해 보기 바란다.
참고 사항 2.
미래에셋증권(M Stock 앱)에서는 공휴일에도 비대면으로 연금저축 계좌만 개설할 수 있다. 그러나 키움증권(영웅문 S# 앱)은 종합계좌를 먼저 개설한 후 종합계좌를 연금계좌 개설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연금저축계좌 등록은 영업이 9시 ~ 22시에만 가능하다.
우선 미래에셋증권의 연금저축 계좌에서 거래 가능한 ETF를 확인해 보니 엄청 많은 ETF가 있었다. 처음에는 거래 가능한 ETF 상품 파일로 추출하여 게시해보려 했으나 파일 추출 방법을 찾지 못하여 거래하고 싶은 ETF 포트폴리오를 먼저 만드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하였다.
미래에셋증권의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거래할 수 있는 리츠 상품은 아래와 같이 총 23개이다.
장기적 자금 계획을 세운 후 연금저축 계좌 개설 및 운용 계획 세우기 : 내 연금 조회
연금저축 계좌는 20년 이상 장기적으로 운용해야 세제 혜택, 수익률 등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나갈 목돈(결혼 자금, 주택 구입 등)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노후 준비는 어떻게 할 것인지, 현재 내 연금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 후 장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 연금저축 계좌에 얼마나 투자할 것인지 금액을 결정하기 전에 꼭 생각해 보기 바란다.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하면 3 영업일 이후 나의 연금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내 연금 조회(금융감독원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연금통합포털 > 내 연금 조회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 금융소비자보호 > 내 연금조회, 재무설계
내 연금 조회에서는 연금 계약 정보와 예시 금액을 볼 수 있다.
자금과 시기에 따라 장기보다는 중단기에 집중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고, 여력이 된다면 장기 투자(노후 준비)에 더 비중을 두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무엇보다 크게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장기 투자를 진행해야 하므로 앞으로의 자금 운용 계획을 세우고 현재 본인의 연금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한 후 연금저축계좌를 만들 것인지, 만든다면 어느 정도 납입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만들기로 결정하였다면 어떤 상품을 담을 것인지 고민한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이미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가지고 있더라도 ISA와 달리 1인 당 한도금액 내에서 여러 개의 연금저축 개좌 개설이 가능하므로 생각해 보길 바란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추종 매매 후기: 거래대금, 양봉으로 박스권 돌파 (2) | 2023.08.15 |
---|---|
미국 나스닥 100 ETF (KBSTAR, ACE, KODEX, TIGER) 비교: 연금 포트폴리오 (27) | 2023.06.05 |
미국 S&P 500 ETF (ACE, KODEX, TIGER, KBSTAR) 비교: 연금 포트폴리오 (34) | 2023.05.29 |
ETF 매매 가능한 개인연금 계좌 개설 방법: 미래에셋, 키움 (26) | 2023.05.22 |
전세계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ETF, 인덱스펀드 (22) | 2023.05.03 |
퀀터스(Quantus)로 강환국 성장가치 소형주 퀀트 투자 결산 (23년 4월) (87) | 2023.04.26 |
퀀터스 Quantus로 퀀트 투자하기: 소형주 성장가치 투자 실천 2 (44) | 2023.02.13 |
투자와 트레이딩(feat. 투자와 투기) (54) | 2023.01.06 |
댓글